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7)
백준 2667번 아무리 해봐도 답이 다 맞게 나오는데 왜 틀린걸까?
While문 조건에 리스트 넣기 while 리스트: 리스트에 아무 것도 남지 않을 때까지 반복한다.
파이썬에서의 스택, 큐, 재귀함수 1. 스택 push는 append() 함수로, pop은 pop() 함수로 실행한다. 2. 큐 큐는 collections 모듈에서 deque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야 한다. deque 자료구조는 스택과 큐의 장점을 모두 채택한 것인데 데이터를 넣고 빼는 속도가 리스트 자료형에 비해 효율적이며 queu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것보다 간단하다. 더불어 대부분의 코딩 테스트에서 collections 모듈과 같은 기본 라이브러리 사용을 허용하므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 또한 deque 객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list() 메소드를 사용하자. 3. 재귀함수 재귀함수는 수학의 점화식을 그대로 재현한 것으로 소스코드가 매우 간결하다. 이 개념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리스트 거꾸로 출력하기
DFS/BFS - 그래프를 탐색하기 위한 대표적인 두 가지 알고리즘 1. DFS - Depth - First -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를 나타내는 두 가지 방식 인접 행렬: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리스트: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행렬 다음 이차원 배열을 통해 1번과 0번 노드의 간선의 가중치가 7임을 알 수 있다. 인접 리스트는 '연결 리스트'라는 자료구조를 이용해 구현하는데 파이썬에서는 리스트가 append() 메소드를 제공하므로 리스트가 배열과 연결 리스트의 기능을 모두 기본으로 제공한다. 인접 행렬은 속도는 빠르지만 메모리 효율이 낮고, 인접 리스트는 속도는 느리지만 메모리 효율이 높다. DFS는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하며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
문자를 아스키 코드로, 아스키 코드를 문자로 변환 ord() 함수: 특정 문자를 아스키 코드로 바꿔준다 chr() 함수: 아스키코드를 문자로 바꿔준다.
구현 Implementation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어떤 문제를 풀든 간에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을 필수이므로 구현 문제 유형은 모든 범위의 코딩 테스트 문제 유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 의미에서 알고리즘 교재에서는 대부분 구현을 별도의 유형으로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취업을 목표로 하는 코딩 테스트에서는 구현이 중심이 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되기에 다른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에 먼저 다루고자 한다. 흔히 구현 문제는 풀이를 떠올리기는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의미한다. 완전 탐색: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방법 시뮬레이션: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해야 하는 문제 유형. 이 둘은 구현이 핵심이 되는 경우가 많..
문자열 나눠서 저장하기 split(), map() 1. split() 문자열을 특정한 문자로 자를 때는 split 함수를 사용한다. 실행결과로 리스트가 나온다. 2. map() map()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함수에 넣고 리턴된 값으로 새로운 리스트를 구성한다. 다음과 같이 각각의 변수에 리스트의 요소를 변화시켜 대입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