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7)
javascript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 프로토타입 prototype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크게 기본 자료형(primitives)과 객체 자료형(object)로 구분할 수 있다. 1. 객체 자료형. 속성과 메소드를 가질 수 있는 모든 것은 객체다. 예를 들면 배열도 객체다. 배열의 타입은 객체다. 배열인지 확인하려면 Array.isArray() 메소드를 사용한다. 함수는 실행이 가능한 객체라는 특이한 자료로 function 타입을 지닌다. 함수는 객체의 특성을 완벽히 가지고 있으므로 일급 객체(first-class object)라고 부르기도 한다. 2. 기본 자료형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실체가 있는 것(undefined와 null이 아닌 것) 중에 객체가 아닌 것을 기본 자료형이라 부른다. 숫자, 문자열, bool이 바로 기본 자료형이다. 이들은 객체가 아니므로 속..
javascript 객체 객체는 배열과 매우 유사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배열은 요소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객체는 키(key)를 사용한다. - 파이썬의 딕셔너리와 유사. 객체는 중괄호{}로 생성하며 쉼표를 통해 연결한다. const product = { 제품명: '망고', 유형: '당절임', 성분: '망고, 설탕, 치자황색소', 원산지: '필리핀' } 요소 접근법 1. 키 사용 - product['제품명'] -> '망고' 2. 온점 사용 - product.제품명 -> '망고' 위와 같이 객체 안에 함수를 선언할 수 있다. this 키워드는 클래스 자신이 가진 속성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객체 선언 후에도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 - 동적 객체 속성 추가 여기서 JSON.stringify(val, repla..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타이머 함수, 비동기 + 즉시 호출 함수 setTimeout(함수, 시간) = 특정 시간 후에 함수를 한 번 호출. setInterval(함수, 시간) = 특정 시간마다 함수를 호출. 타이머 종료 함수 clearTimeout(타이머 id) = setTimeout()으로 설정한 타이머를 제거 clearInterval(타이머id) = setInterval()로 설정한 타이머 제거 타이머id는 setTimeout()과 setInterval() 함수를 호출할 대 리턴값으로 나오는 숫자. id 값을 매개변수로 넣어줘야만 clearInterval()이 작동한다. (function () { })() - 다른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변수들과 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함수 블록을 만들 때 사용.
자바스크립트 함수 고급, 콜백 함수 callback, foreach(), map(), filter()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하나의 자료형이므로 매개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매개변수로 전달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 한다. 익명함수는 매개변수의 자리에 함수 선언과 동시에 이름이 없는 함수를 바로 삽입하는 방법이다. forEach()는 해당 배열의 원소들을 매개변수로 받은 함수 안에 넣은 후 리턴해 준다. map()은 해당 배열을 콜백함수에 넣어 리턴받은 값으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주는 함수다. 위의 예제에서 map()은 원소들을 제곱한 후 리턴해준다. filter()는 콜백함수에서 리턴하는 값이 true인 것들만 모아서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 map(), filter()함수처럼 단순한 형태의 콜백함수를 쉽게 입력하고자 화살표함수라는 함수 생성 방법이 마련되었다.
백준 최대 힙, 절댓값 힙 - heapq 사용, 파이썬 파이썬 내장모듈 heapq는 기본적으로 최소힙을 제공한다. 즉 queue에 원소들은 push한 후 pop을 했을 때 작은 값부터 나온다는 뜻이다. 해당 문제는 자연수 기준이므로 숫자를 음수로 바꾼 뒤 push하고, pop한 후 다시 -를 붙여주면 큰 수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절댓값 힙은 절댓값과 본값을 가지는 튜플로 heapq를 수행한다. 튜플은 첫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정렬되므로 절댓값으로 정렬 후 출력은 두번째 원소를 해주면 된다.
백준 최대 힙, 절댓값 힙 - heapq 사용, 파이썬 파이썬 내장모듈 heapq는 기본적으로 최소힙을 제공한다. 즉 queue에 원소들은 push한 후 pop을 했을 때 작은 값부터 나온다는 뜻이다. 해당 문제는 자연수 기준이므로 숫자를 음수로 바꾼 뒤 push하고, pop한 후 다시 -를 붙여주면 큰 수부터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절댓값 힙은 절댓값과 본값을 가지는 튜플로 heapq를 수행한다. 튜플은 첫번째 원소를 기준으로 정렬되므로 절댓값으로 정렬 후 출력은 두번째 원소를 해주면 된다.
css 선택자 필수 암기! www.nextree.co.kr/p8468/ CSS: 선택자(Selector) 이해 웹 표준은 이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 World Wide Web(WWW)의 의미대로 가능한 많은 사람이 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브라우저에서 ‘똑같이 보이는 것’이 아니라 ‘각 브라우 www.nextree.co.kr www.w3schools.com/cssref/trysel.asp Try CSS Selector Welcome to My Homepage My name is Donald Duck. I live in Duckburg I have many friends: Goofy Mickey Daisy Pluto All my friends are great! But I really like Daisy!! ..
파이썬 itertools permutations! permutation= 순열 import itertools n = int(input()) arr = [i for i in range(1, n+1)] t = itertools.permutations(arr, n) for i in t: print(*i) # 3 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 itertools 라이브러리의 permutations()를 사용하여 해당 리스트, 문자열의 원소들로 만든 순열들을 튜플 형태로 얻을 수 있다.